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떠오른 해에 웃은 기업 vs 쏟아진 우박에 흐린 기업

2020-11-22 0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떠오른 해에 웃은 기업 vs 쏟아진 우박에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심상찮은 코로나19 확산세에 수도권 등지의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된 한 주였습니다.<br /><br />거리두기 격상은 곧 기업활동 위축과 동의어인데요.<br /><br />난관 속에서도 호재를 만난 기업, 또, 힘든 한 주 보낸 기업들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 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내년엔 올해의 반사 효과로 성장률이 오를 것 같다.<br /><br />비교적 낙관적인 전망들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길고 짧은 건 대봐야 알겠죠.<br /><br />그러면 이번 주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먼저 삼성전자입니다.<br /><br />해외발 겹호재로 보기 드문 호기 만났습니다.<br /><br />스마트폰 1위 위협하던 화웨이가 미국 압박에 중저가 사업 팝니다.<br /><br />중국 반도체 굴기의 상징 칭화유니그룹은 회사채 부도냈고요. 핵심사업에서 큰 위협요인이 사라진 셈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일까요.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계속 사네요.<br /><br />삼성이 쌓아온 난공불락의 경쟁력이 근본 원인이지만 반사이익은 오래가기 어렵죠.<br /><br />이번 일 계기로 격차를 두 배로 늘리는 노력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최대 국적 해운사 HMM입니다.<br /><br />수출화물 못 실어낼 정도로 수요 몰리며 운임 급등해 10년 만에 최대 실적 냈습니다.<br /><br />이 불황에 3분기 2,700억 원대 영업이익 냈습니다. 무려 21분기 연속 적자 뒤 두 분기째 흑자 낸 거고요.<br /><br />3분기로는 10년 만에 최대 실적입니다.<br /><br />초대형 컨테이너선과 해운동맹 가입 덕도 있지만, 직접적으론 싼 유가와 배 부족에 따른 운임 급등 덕입니다.<br /><br />이게 4년 전 한진해운 파산의 결과이자 수출기업들의 고난의 대가란 지적 있는 건 아실 겁니다. 좋아할 수만은 없는 처지입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먼저 배달앱 '요기요' 운영사 딜리버리히어로입니다.<br /><br />배달의민족 인수해 천하통일 꿈꿨는데 난관 부딪혔습니다.<br /><br />기업결합 심사해온 공정거래위원회가 결과 통보했는데요. 인수하려면 요기요 팔라는 게 요지입니다.<br /><br />배민 사서 천하 통일하려는데 배민만 가지란 겁니다.<br /><br />딜리버리히어로는 반발했고 벤처 업계는 스타트업 활성화 저해한다며 조건 철회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금도 수수료나 갑질 논란 끊이지 않는데 당국이 점유율 90% 넘는 합병을 무조건 승인하긴 힘듭니다.<br /><br />기업 성장만큼이나 소비자와 소상공인도 중요하니까요.<br /><br />이번엔 아시아나항공입니다.<br /><br />첫 비행 32년 만에 주인 바뀌고 마크 떼게 됐는데. 이런저런 비판 나옵니다.<br /><br />몇 년째 어려움 겪어온 아시아나.<br /><br />결국 대한항공이 인수, 합병하는 걸로 결론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산업은행이 이 과정에 8천억 원 투자합니다.<br /><br />내년 6월까지 인수 절차 끝내고요. 양사 계열 저비용 항공사들도 1개로 통합합니다.<br /><br />구조조정 안 하고 항공료 인상 절대 없다.<br /><br />조원태 한진 회장의 장담입니다.<br /><br />다 어렵고 빚은 산더미고 불황 언제 끝날지 모르는데 산은과 조 회장은 그러면 어떻게 회사 살릴지 보여주시기를 바랍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제주, 티웨이, 이스타 등 저비용 항공사들입니다.<br /><br />실적은 최악인데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의 역풍 맞게 생겼습니다.<br /><br />전해드린 대로 진에어, 에어부산, 에어서울도 통합한다는 게 산은과 한진 계획이죠.<br /><br />이렇게 되면 기존 저비용사 중 사정 낫다는 제주항공도 경쟁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더 어려운 티웨이, 파산 직전 이스타, 매각설 도는 플라이강원, 취항도 전에 무급휴직한 에어프레미아는 어떻게 활로를 찾아야 할까요?<br /><br />다들 겨우겨우 버티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출범할 대형 저비용사 외에 다른 곳들 대책은 있는지 당국에 묻고 싶네요.<br /><br />마지막은 LG화학, SK이노베이션, 삼성SDI 배터리 3사입니다.<br /><br />전기차 화재에 완성차업체들의 배터리 직접 생산이란 악재 만났습니다.<br /><br />정부 보조금으로 성장해온 중국업체 제치고 3사가 높은 성과 내고 있는데 곤혹스러운 일 터졌습니다.<br /><br />LG화학 배터리 쓴 GM, 현대 전기차, 삼성SDI 것 쓴 BMW, 포드 하이브리드차에 불 난 겁니다.<br /><br />배터리 문제란 판정 안나와도 부담이죠.<br /><br />여기에 테슬라 이어 포드가 배터리 자체 생산 검토 방침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시장 자체가 위협받는 겁니다.<br /><br />전기찻값 40%가 배터리값입니다.<br /><br />배터리 직접 만들겠다고 나설 곳은 계속 늘 겁니다.<br /><br />자동차 회사와 초격차 유지 못 하면 봄날은 곧 간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말씀드린 대로 양대 항공사 합병 작업이 추진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구조조정엔 좋을지 몰라도 일자리와 소비자, 기업지배구조 쪽 고려는 부족했다는 지적 있습니다.<br /><br />손볼 부분 없는지 다시 살필 일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